//추가 단축키

 

안녕하세요

영화를 읽는 남자

진곱이입니다.

 

 

● 들어가기 전

 

세상에 천사나 악마가

있다고 믿으시나요?

 

개인적으로 종교를

믿지는 않지만

사후의 세계나 영혼은 있다고

믿고 있어요.

 

그렇게 믿어야지만

죽음의 공포가 없을 것 같아서요.

 

그래서 종교를 믿진 않지만

천사와 악마

사람의 영혼 등은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지만 존재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모순적이죠?^^

 

A가 참이라고 해서

A'가 거짓이란 법은 없으니까요.

 

생뚱맞은 서두였네요.

 

제가 이번에 소개해드릴 영화는

바로 <콘스탄틴>입니다.

 

 

 

● 영화 소개

 

2005년에 개봉한

영화 <콘스탄틴>은

키아누 리브스 주연의

퇴마를 소재로 한 액션 스릴러물입니다.

 

<매트릭스> 주인공인 '네오'로 출연했던

키아누 리브스 배우가

이 영화에서도 주연으로 나왔네요.

 

 

 

또 다른 주연으로는

<미이라> 시리즈 영화에 출연했던

'에블린'역을 연기했던 여배우

레이첼 와이즈가 출연했습니다.

 

영화 <콘스탄틴>은

DC코믹스가 원작으로

2005년에 영화로 개봉했습니다.

 

 

 

● 영화 내용

 

<콘스탄틴>은

천사와 악마가 존재하는

인간 세계에서 이를 볼 수 있고

구분할 수 있는 유일한 인간이자

살아갈 날이 얼마 남지 않는 퇴마사,

'존 콘스탄틴'(키아누 리브스)과

자신의 동생, '이사벨'(레이첼 와이즈)의 죽음을 밝혀주길 원하여

도움을 청하러 온 경찰이자 '이사벨'의 언니인

'안젤라'(레이첼 와이즈)와 이 죽음의 원인을

파헤치게 되는 영화입니다.

 

'존'은 '안젤라'에게 인간 세계와

천사와 악마가 존재하는 것을

말해주고

지옥에만 있어야 하는 악마와

천국에만 있어야 하는 천사는

결코 인간 세계로 침범하지 못하지만

인간 세계에 영향을 끼치는

혼혈종이 있다는 사실 또한 말해주게 됩니다.

 

 

 

이를 균형의 세계라고 하는데

하지만 어떤 이유에서

이 균형의 세계가 점점 부서지며

악령들이 인간 세계에 침범하려 하는 것을

'존'은 발견하게 됩니다.

 

이 모든 것이

'이사벨'의 죽음과 관련이 있는 것을

깨달은 '존'과 '안젤라'는

동생의 죽음을 조사하고 악령들과 싸우며

헤쳐나가게 됩니다.

 

 

 

● 후기

 

개인적으로

정통 종교 영화 같은 경우

배경 지식이 많이 없기 때문에

거의 보는 일이 없지만

<콘스탄틴> 경우는

천사와 악마, 그들이 인간 세계에 끼치는

모습들을 액션과 섞어서 그런지

영화 자체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전혀 어려움이 없었던 것 같아요.

 

 

 

그리고 평소에 천국과 지옥이 있다면

이런 모습일 것이라는 생각과

거의 일치하 듯 영화상의 이미지가

저의 상상력과 잘 맞았던 것 같습니다.

 

온통 불과 피와 빨간 풍경만이 전부인 지옥과

잠시밖에 나오지 않았지만 빛의 세상을

그대로 구현해 낸 천국...

 

권선징악이 실제로 존재하는 진리라면

다시 한번 나 자신에게 부끄럽지 않게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들게 했고

죽음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되는

영화였던 것 같습니다.

 

 

 

● 진곱이가 꼽은 시네마 명대사

 

"모든건 신의 계획하에 있다.

난 두번이나 죽고서야 그걸 깨닫게 됐다.

성경에서 말하듯, 신의 뜻은 인간이 알 수 없는것.

마음에 안들어도, 받아들일 수 밖에."

영화 <콘스탄틴> '존 콘스탄틴' 대사 중

 

 

 

안녕하세요

영화를 읽는 남자

진곱이입니다.

 

 

● 들어가기 전

 

여러분들은

본인이 평소 몇 퍼센트 정도의

뇌를 사용한다고 생각하시나요?

 

10%? 20%?

아니면 50% 그 이상??

 

실제 뇌 과학에 따르면

인간이 평생 동안

사용할 수 있는 뇌 용량은

기껏해야 2~3% 정도가

고작이라고 해요.

 

아이큐 200이 넘고

인류 중 가장 천재라고 했던

아인슈타인도

10프로가 안된다고 하니

저 같은 일반적인 사람들은

2%라는 말도 납득이 가네요^^

 

그런데 만일

어떠한 사건에 의하여

뇌를 100% 온전히 쓸 수 있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이번에 소개해드릴 영화는

스칼렛 요한슨 주연의

<루시>입니다. 

 

 

영화 <루시>

 

● 영화 소개

 

2014년에 개봉한

영화 <루시>는

뇌 과학과 초능력을

소재로 한

SF 액션 스릴러물입니다.

 

출연으로는

어벤저스 대표 여성 히어로인

스칼렛 요한슨과

두말하면 서러울 우리나라

대표 연기파 배우

최민식  그리고 모건 프리먼 등

연기하면 빼놓을 수 없는 배우들이

나왔습니다.

 

 

영화 <루시>

 

● 영화 내용

 

영화 <루시>는

극 중에 나오는 '루시'(스칼렛 요한슨)를

두고 영화가 진행되는데요.

 

평범한 삶을 살던 '루시'는

지인 '리처드'(요한 필립 애스백)의

꼬임에 넘어가 어쩔 수 없이

정체불명의 물건이 들어있는 007 가방을

'미스터 장'(최민식)에게 전달하려 하지만

영문도 모른 채 '미스터 장'의 조직에게

호텔방으로 납치를 당하게 됩니다.

 

 

영화 <루시>

 

살려달라고 부탁하는 '루시'의 말을

뒤로하고 '미스터 장'은 강제로

'루시'의 뱃속에 가방에 들어있는 정체불명의

파란 가루를 집어넣어 산채로 운반하게 됩니다.

 

다른 운반책들과 운반되던 도중

조직의 폭력으로 인해

'루시'의 뱃속에 있던 가루가

뱃속에서 그대로 터지게 되고

그 가루의 대부분이 '루시'의 몸속에서

합성되고 맙니다.

 

 

영화 <루시>

 

몸속에서 그대로 체내에 퍼지게 된

가루로 인해

'루시'에게 그동안 닫혀있던

모든 감각들이 서서히 깨어나게 되는데요.

 

10%... 20%... 40%... 70%... 100%...

뇌 용량이 점점 늘어나면서

세포 또한 1초에 수 천 개씩 생성되가며

인간 능력의 범주를 넘어서지만

그만큼 생명 또한 줄어들어

자신의 남은 시간이 24시간밖에

없다는 것을 알게 된

'루시'는 뇌 분야의 최고 권위를

가지고 있는 '노먼'(모건 프리먼) 박사에게 연락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세상 모든 지식과 진리를

전달해주고자 합니다.

 

 

영화 <루시>

 

● 후기

 

한 마디로 말하면

짧은 시간에 나름 임팩트 있게

내용을 담아낸 영화라고 생각했습니다.

 

왜 하필이면 제목이 '루시'일까

생각하면서 봤는데요.

 

그 이유가 나오더라고요.

 

'루시'... 인류 최초의 여성...

그래서 마지막 장면을 보게 되면

'루시'(스칼렛 요한슨)가

뇌의 100%까지 도달하자

시간을 조절해 머나먼 과거로 가게 되는데

그곳에 최초의 여성 유인원

'루시'가 있던 거죠.

 

그럼 이게 무엇을 말하고자 한 걸까요?

 

제 생각에는

 

결국 인간이든 생물이든 무생물이든

그 존재를 증명하는 방법은

시간이 있어야 가능하다는

말을 하는 것 같습니다.

 

영화 대사에서도

'루시'가 '노먼' 박사에게

저 대사를 하는데요.

 

차가 길을 달리고 있을 때

속도가 무한히 증가한다고 가정했을 때

결국 나중에 그 차는 눈에 보이질 않게 되는데요.

 

그렇다면 달리고는 있지만 보이지 않는 차는

존재를 하느냐에 대해서

그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결국 이 대사가

 영화 전체를 보여주는데

단순한 지식이 아닌

역사를 넘어선

세상의 탄생과 기원까지

세상의 진리를 보여주는 영화였다고

생각합니다. 

 

 

영화 <루시>

 

 

● 진곱이가 꼽은 시네마 명대사

 

"존재를 규정하는 건 시간이에요."

영화 <루시> '루시'가 '노먼' 박사에게 한 대사 중

 

+ Recent posts